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초년생을 위한 금융 리터러시 기초: 꼭 알아야 할 용어와 개념

by 행복공장장 2025. 9. 15.

사회초년생을 위한 금융 리터러시 기초: 꼭 알아야 할 용어와 개념

 

사회초년생이 꼭 알아야 할 금융 지식을 기초부터 쉽게 풀어 설명합니다. 복잡한 전문용어 대신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용어와 사례를 통해 재테크 첫걸음을 도와드립니다.

들어가며

첫 월급을 받으면 설레기도 하지만, 세금, 신용점수, 복리 같은 금융 용어는 낯설고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런 개념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잘못된 선택을 하거나 불필요한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사회초년생이 반드시 알아야 할 금융 리터러시 기초를 쉽게 풀어드립니다.

1. 수입, 지출, 예산 세우기

수입은 월급뿐만 아니라 부수입, 투자수익까지 포함합니다. 지출은 생활비, 교통비, 구독료 같은 고정·변동 비용입니다. 예산은 이 수입과 지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계획인데, 대표적인 방법이 50/30/20 법칙입니다.

  • 50% 필수 지출(월세, 식비, 공과금)
  • 30% 선택 지출(취미, 여가)
  • 20% 저축 및 투자

예: 월 200만원 수입이라면, 100만원은 필수 지출, 60만원은 선택 지출, 40만원은 저축 및 투자로 배분합니다.

2. 복리 효과

복리란 원금뿐 아니라 이자에도 이자가 붙는 개념입니다. 단순이자는 1,000만원을 연 5%로 맡기면 5년 뒤 1,250만원이 되지만, 복리라면 약 1,276만원이 됩니다. 금액 차이는 작아 보이지만, 기간이 길어질수록 차이는 눈덩이처럼 커집니다.

3. 신용과 신용점수

신용점수는 금융생활의 성적표와 같습니다. 점수가 높으면 대출이나 신용카드 발급이 유리하고, 낮으면 불이익을 받습니다.

  • 연체 없이 제때 납부
  • 신용카드 사용 한도를 30% 이하로 유지
  • 불필요한 대출·신용조회 자제

4. 세금과 공제

급여 명세서를 보면 총급여(세전)와 실수령액(세후)이 다릅니다. 소득세, 4대 보험, 연금 등 공제가 빠지기 때문입니다. 또 연금저축 납입액, 의료비, 교육비 등은 세금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저축, 투자, 비상금

가장 먼저 3~6개월치 생활비를 모은 비상금을 확보하세요. 그다음 예금·적금으로 안전하게 저축하고, 여유가 생기면 ETF, 펀드 등 투자상품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감당 가능한 수준에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맺음말

금융 리터러시는 단순한 지식이 아니라 평생을 지켜주는 습관입니다. 오늘부터 예산을 세우고, 신용을 관리하며, 복리를 활용하는 작은 실천을 시작해 보세요. 시간이 지날수록 당신의 자산은 단단하게 성장할 것입니다.

행동으로 옮기기

이번 달 지출 내역을 기록하고, 50/30/20 규칙으로 예산을 세워보세요. 작은 시작이 큰 차이를 만듭니다.